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Kimyeongkyung

프로그래머스 알고리즘 정리(7-12번) 본문

알고리즘

프로그래머스 알고리즘 정리(7-12번)

yeongk0825 2022. 3. 14. 22:37

[quiz_7] 음양 더하기

 

문제

 

어떤 정수들이 있습니다. 이 정수들의 절댓값을 차례대로 담은 정수 배열 absolutes와 이 정수들의 부호를 차례대로 담은 불리언 배열 signs가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 실제 정수들의 합을 구하여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제한조건

  • absolutes의 길이는 1 이상 1,000 이하입니다.
    • absolutes의 모든 수는 각각 1 이상 1,000 이하입니다.
  • signs의 길이는 absolutes의 길이와 같습니다.
    • signs[i] 가 참이면 absolutes[i] 의 실제 정수가 양수임을, 그렇지 않으면 음수임을 의미합니다.

 

풀이

 

function solution(absolutes, signs) { 
    var answer = 0; 
    for(let i=0; i<signs.length; i++){ 
        answer += signs[i] ? absolutes[i] : absolutes[i]*-1
    }
    return answer; 
}

// answer에 i값을 0부터 sign값의 길이만큼 넣을건데 
// answer에 sign배열에 값을 차례대로 넣어서 true면 absolutes[i](양수), 
// false면 absolute[i]*-1(음수) 값을 넣어 더한다.
// answer = answer + sign[i]

//function solution(absolutes, signs) {

//return absolutes.reduce((acc, val, i) => acc + (val * (signs[i] ? 1 : -1)), 0);
}

 

[quiz_8] 평균 구하기

 

문제

정수를 담고 있는 배열 arr의 평균값을 return하는 함수, solution을 완성해보세요.

 

  • arr은 길이 1 이상, 100 이하인 배열입니다.
  • arr의 원소는 -10,000 이상 10,000 이하인 정수입니다.

 

풀이


// accumulator - accumulator는 callback함수의 반환값을 누적함
// currentValue - 배열의 현재 요소

function solution(arr) {
    return arr.reduce((accumulator, currentValue) => accumulator + currentValue,0) / arr.length;
}
// .reduce : 배열의 합 구하기
// 초기값을 써줘야 인덱스 0에서 시작함, 초기값을 쓰지 않으면 인덱스 1부터 시작해 첫번째 인덱스를 건너뜀

 

[quiz_9] 핸드폰 번호 가리기

 

문제

 

프로그래머스 모바일은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고지서를 보낼 때 고객들의 전화번호의 일부를 가립니다.
전화번호가 문자열 phone_number로 주어졌을 때, 전화번호의 뒷 4자리를 제외한 나머지 숫자를 전부 *으로 가린 문자열을 리턴하는 함수, solution을 완성해주세요.

 

제한 조건

  • s는 길이 4 이상, 20이하인 문자열입니다.

 

풀이

 

.slice 사용

function solution(phone_number) {
    var answer = "*".repeat(phone_number.length - 4) + phone_number.slice(-4);
    return answer;
  //배열 전체에서 마지막 4자리만 빼고 나머지는 *로 반복해라
}


.substr 사용
 function solution(phone_number) {
     var answer = "*".repeat(phone_number.length - 4) + phone_number.substr(-4,4);
     return answer;
//배열 전체에서 마지막 4자리만 빼고 나머지는 *로 반복해라
}

 

.substring 사용
function solution(phone_number) {
    var answer = "*".repeat(phone_number.length - 4) + phone_number.substring(-4);
    return answer;
  //배열 전체에서 마지막 4자리만 빼고 나머지는 *로 반복해라
  //-4 => 뒤에서부터 4번째 자리 부터 반환해라
}

 

[quiz_10] 행렬의 덧셈

 

문제

 

행렬의 덧셈은 행과 열의 크기가 같은 두 행렬의 같은 행, 같은 열의 값을 서로 더한 결과가 됩니다. 2개의 행렬 arr1과 arr2를 입력받아, 행렬 덧셈의 결과를 반환하는 함수, solution을 완성해주세요.

 

제한 조건

  • 행렬 arr1, arr2의 행과 열의 길이는 500을 넘지 않습니다.

 

풀이

 

function solution(arr1, arr2) {
    var answer = []; //answer은 1차원 배열
    for(var i=0; i<arr1.length; i++){
        answer[i] = []; //배열안에 배열을 넣어 2차원 배열로 만들어줌
            //answer = [[],[],[],[],...,[]];
        for(var j=0; j<arr1[i].length; j++){
            answer[i][j] = arr1[i][j] + arr2[i][j]; //[i]:행 [j]:열
        }
    }
    return answer;
}

 

참고자료

 

2차원 배열을 따로 선언을 해줘야하지만 값이 들어가진다는 것을 알고, 아래와 같이, answer라는 1차원 array에다가 answer의 i번째 인덱스마다 새롭게 배열을 선언해주었다.

그러면 answer = []; 이런 배열이었다가, answer의 0, 1, 2...번째 배열을 선언해주면, answer=[[],[],[]...[]]; 이런식으로 각 인덱스마다 새로운 배열이 선언하게 된다.

answer의 i번째 인덱스마다 선언된 배열은 answer의 i행 j열에 arr1, arr2의 각 자릿수의 합이 더해지게되고, 이 값을 리턴해주면 원하는 결과값을 얻을 수 있다.

 

출처 : https://leylaoriduck.tistory.com/442

 

[프로그래머스 스킬체크 레벨 1] 행렬의 덧셈 풀이 및 설명 - 자바스크립트[JavaScript]

https://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12950 코딩테스트 연습 - 행렬의 덧셈 행렬의 덧셈은 행과 열의 크기가 같은 두 행렬의 같은 행, 같은 열의 값을 서로 더한 결과가 됩니다. 2개의 행렬 arr1..

leylaoriduck.tistory.com

[quiz_11] x만큼 간격이 있는 n개의 숫자

 

문제

 

함수 solution은 정수 x와 자연수 n을 입력 받아, x부터 시작해 x씩 증가하는 숫자를 n개 지니는 리스트를 리턴해야 합니다. 다음 제한 조건을 보고, 조건을 만족하는 함수, solution을 완성해주세요.

 

제한 조건

  • x는 -10000000 이상, 10000000 이하인 정수입니다.
  • n은 1000 이하인 자연수입니다.

풀이

 

1)

 function solution(x, n) {
     var answer = [];
    
     for(var i=0;i<n;i++){
         answer.push(x*(i+1));
        
     }
     return answer;
}
------------------------------------------------
2)
function solution(x, n) {
    let answer = [];
 
    for(let i = 1; i < n+1; i++) {
        answer.push(x * i);
    }
    return answer;
}


//push 함수 : 배열의 마지막에 새로운 요소를 추가

 

[quiz_12] 부족한 금액 계산하기

 

문제

 

새로 생긴 놀이기구는 인기가 매우 많아 줄이 끊이질 않습니다. 이 놀이기구의 원래 이용료는 price원 인데, 놀이기구를 N 번 째 이용한다면 원래 이용료의 N배를 받기로 하였습니다. 즉, 처음 이용료가 100이었다면 2번째에는 200, 3번째에는 300으로 요금이 인상됩니다.
놀이기구를 count번 타게 되면 현재 자신이 가지고 있는 금액에서 얼마가 모자라는지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하세요.
단, 금액이 부족하지 않으면 0을 return 하세요.

 

제한사항

  • 놀이기구의 이용료 price : 1 ≤ price ≤ 2,500, price는 자연수
  • 처음 가지고 있던 금액 money : 1 ≤ money ≤ 1,000,000,000, money는 자연수
  • 놀이기구의 이용 횟수 count : 1 ≤ count ≤ 2,500, count는 자연수

풀이

 

//price원 인 놀이기구를 count번 탈거니까 price x count 원이 필요한데 내가 가진돈은 money라면
// ((price) x (count))-(money) = result값이 나옴

//result 값은 내가 돈이 부족하지 않을경우 0 반환, 돈이 모자랄경우 얼마가 모자란지 반환

//price : 놀이기구 처음탈때 가격

//money : 내가 가진 돈

//count : 놀이기구 탈 횟수
function solution(price, money, count){
    let totalPrice = 0; //놀이기구 탈때 필요한 값. 나중에 내가 가진돈(=money)를 빼주면 됨, 0으로 초기화
    for(let i=1;i<=count;i++){
      //놀이기구는 최소 한번은 타야함.
      
        totalPrice += price * i;       // => totalPrice = totalPrice + (price * i)
      // 처음탈때 가격(price)에 내가 탈 횟수(i)가 곱해져야 totalPrice가 나옴
        //price가 100원이고 3번 탈거라면 totalPrice = (100 x 1)+(100 x 2)+(100 x 3) => 600
    } 

 

//삼항조건연산자 사용
//(조건문) ? (조건문이 true면 실행) : (조건문이 false면 실행)
  
        return money > totalPrice ? 0 : math.abs(totalPrice - money);
        //내가 가진 금액이 필요한 금액보다 많을 경우(돈이 모자라지 않을 경우)
        

        //같은 뜻
        // return money < totalPrice ? totalPrice-money : 0;
        //내가 가진금액이 필요한 금액보다 부족할 경우
   }     

// 내가 가진돈이 총 필요한 금액(놀이기구 1회가격 x 내가 탈 횟수)보다 크다면 돈이 부족하지 않다는거니까 0 출력
// 가진돈이 필요한 금액보다 작다면 돈이 부족하다는 거니까 총 필요금액(totalPrice)에서 내가 가진 돈(money) 뺀 값 출력

 

 

 

 

'알고리즘'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그래머스 알고리즘 정리(13-18번)  (0) 2022.03.15